< 목록으로

블록체인 '1호 상장사' 나오나…'수익 다각화' 나선 DSRV

M
김태완
2025.02.06
추천 0
조회수 180
댓글 0

작년 매출 100억원 기록, 내년 코스닥 상장 도전
주요 사업 '밸리데이터', 코인 시장 영향 커…결제 분야로 수익원 확장

(서울=뉴스1) 박현영 기자 =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DSRV가 오는 2026년 코스닥 상장을 예고하면서 블록체인 업계 '1호 상장사'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상장을 위한 선결과제로는 수익 다각화가 꼽힌다. DSRV의 주요 수익원인 밸리데이터(검증인) 사업은 가상자산 시장 상황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 DSRV는 가상자산 시장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달 밸리데이터 수익을 현금화한다는 입장이다.

 

작년 매출 100억원 달성…주요 사업 '밸리데이터'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DSRV는 최근 대신증권을 상장주관사로 선정하고 상장 절차에 착수했다. DSRV는 삼성전자 출신 김지윤 대표가 지난 2019년 설립한 기업으로, 블록체인 밸리데이터 사업이 가장 주된 사업이다.

밸리데이터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 생성 과정에 참여하고, 그 보상으로 가상자산을 얻는 것을 말한다.

DSRV는 솔라나, 앱토스, 아발란체, 니어프로토콜 등 주요 레이어1 블록체인의 밸리데이터로 참여하고 그에 따른 수익을 확보해왔다. 앱토스 블록체인의 밸리데이터로 참여하고 앱토스(APTOS) 코인을 얻는 식이다. 국내에서도 밸리데이터 사업에 나서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가장 많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밸리데이터 사업은 가상자산 시장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특징이 있다. 수익을 가상자산으로 얻으므로 가상자산 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할 경우 매출에 큰 영향이 있는 것이다.

앞서 DSRV는 지난해 매출 100억원과 영업이익 30억원을 기록, 흑자전환이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코스닥 상장 요건인 매출 100억원도 충족한다.

하지만 이를 두고 지난해 가상자산 시장이 활황이었기 때문에 매출이 늘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가상자산 하락장이 다시 올 경우 지난해와 같은 실적을 거둘지 미지수라는 것이다. 이에 DSRV가 목표대로 상장을 추진하기 위해선 밸리데이터 사업 외 다른 수익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결제·커스터디로 신사업 도전…밸리데이터는 2배 성장 목표

 

우선 DSRV는 가상자산 시장 영향을 줄이고자 매달 밸리데이터 수익을 현금화한다는 입장이다. 밸리데이터 수익을 그대로 가상자산으로 보관하다가 추후 가격 하락으로 타격을 입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DSRV 관계자는 "가상자산 가격 변동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달 정해진 몇 개의 일자에 기계적으로 현금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단, 현금화보다 중요한 과제는 수익원 자체를 늘리는 것이다. 현금화를 자주 진행한다고 해도 시장 상황에 따른 영향을 크게 줄이기는 힘드므로 밸리데이터 외 수익원을 확보해야 한다.

DSRV도 이 같은 지적을 인지하고 올해 결제, 커스터디(수탁) 등 신사업에서 매출의 20% 이상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DSRV는 결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범용으로 지난해 말 파트너사인 아이티센의 사내 카페에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적용하기도 했다. 지난해 9월 가상자산사업자(VASP) 라이선스도 취득했다.

또 가상자산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100억원대 매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밸리데이터 사업 자체도 2배 이상 성장시키겠다는 계획도 내세웠다. 밸리데이터로 참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수 자체를 늘려서 가상자산 수익을 더 많이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DSRV 관계자는 "밸리데이터 사업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외비라 공개하기 어렵다"면서도 "현재는 대부분의 매출이 밸리데이터 사업으로 발생하는 것은 맞다"고 밝혔다.

다만 "2025년 안에 밸리데이터 사업에서 2배 이상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고, 결제 및 커스터디 등 신사업에서 매출의 20%를 발생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https://www.news1.kr/finance/blockchain-fintech/5680399

댓글

블록체인

UAE, 시바이누(SHIB)로 정부 서비스 블록체인 통합 추진
M
김태완
조회수 338
추천 0
2025.02.06
UAE, 시바이누(SHIB)로 정부 서비스 블록체인 통합 추진
[주요 뉴스] 미국 정부 블록체인 도입 검토, 무브 기술 채택 가능성
M
김태완
조회수 214
추천 0
2025.02.06
[주요 뉴스] 미국 정부 블록체인 도입 검토, 무브 기술 채택 가능성
블록체인 '1호 상장사' 나오나…'수익 다각화' 나선 DSRV
M
김태완
조회수 180
추천 0
2025.02.06
머스크잇, 두바이에 '머스크 타워' 건설…"글로벌 블록체인 허브"
M
김태완
조회수 185
추천 0
2025.02.04
정보통에 따르면: 트럼프 가족의 암호화 프로젝트 WLFI가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접촉하여 "토큰 교환"을 요청하고 있다
M
김태완
조회수 248
추천 0
2025.02.04
더키,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거래플랫폼 개발 박차
M
김태완
조회수 191
추천 0
2025.02.04
더키,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거래플랫폼 개발 박차
DRX,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플랫폼 '위퍼블릭'에 공식 팬 커뮤니티 오픈
M
김태완
조회수 183
추천 0
2025.02.04
DRX,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플랫폼 '위퍼블릭'에 공식 팬 커뮤니티 오픈
실물자산(RWA) 토큰화 시장, $171억 돌파… 블록체인 산업 내 급성장 분야 부상
M
김태완
조회수 263
추천 0
2025.02.04
실물자산(RWA) 토큰화 시장, $171억 돌파… 블록체인 산업 내 급성장 분야 부상
트럼프 2기 바람 타나...블록체인 게임 도전은 계속된다
M
김태완
조회수 230
추천 0
2025.02.04
트럼프 2기 바람 타나...블록체인 게임 도전은 계속된다
[김종현의 블록체인과 AI] 블록체인, 신뢰와 가치를 향해
M
김태완
조회수 190
추천 0
2025.02.04
[김종현의 블록체인과 AI] 블록체인, 신뢰와 가치를 향해
카톡으로 상장을? 블록체인 배지로 경력 관리와 커뮤니티 활성화
M
김태완
조회수 230
추천 0
2025.02.03
비트코인을 넘어선 블록체인! ‘도지’가 다음 기술 혁명을 이끌고 있다
M
김태완
조회수 234
추천 0
2025.02.03
위메이드의 신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 블록체인 기술 접목한 MMORPG 차별점 보여줄까?
M
김태완
조회수 265
추천 0
2025.02.03
위메이드의 신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 블록체인 기술 접목한 MMORPG 차별점 보여줄까?
싱가포르 의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식품 원산지 추적하는 법안 통과
M
김태완
조회수 234
추천 0
2025.02.03
싱가포르 의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식품 원산지 추적하는 법안 통과
콘텐츠 조작·데이터 거버넌스 걱정 없는 PKI 기반 ‘블록체인 SNS 플랫폼’
M
김태완
조회수 194
추천 0
2025.02.03
작성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