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으로

빌딩도, 그림도, 송아지도…'세상 모든 것' 쪼개서 산다[조각투자 시대] ①

M
오즈마
2023.04.03
추천 0
조회수 1081
댓글 0

 

 

[서울=뉴시스] 배민욱 기자 = 이르면 내년 말부터 '토큰증권(ST·Security Token)' 시대가 열린다. 금융당국은 토큰증권 제도권 편입을 위한 정책 행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금융당국이 지난달 토큰증권 발행 허용 방침을 밝히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관련 업계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특히 조각투자 시장은 새로운 기회의 땅으로 떠오르고 있다. 조각투자는 개인이 혼자서 투자하기 어려운 고가의 자산들을 지분 형태로 쪼갠 뒤 여러 투자자가 공동으로 투자하는 방식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토큰 증권은 실물자산이나 금융자산의 지분을 작게 나눈 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토큰(Token·특정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가상자산) 형태로 발행한 증권이다.

증권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가상자산(암호화폐)과 차이가 있다. 증권은 소유권에 대한 권리(주식)나 채무에 대한 권리(채권) 등을 담고 있다. 가상자산은 이런 권리가 없다. 토큰증권은 거의 모든 자산을 증권화할 수 있다.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일부 국가들은 이미 수년 전부터 증권형 토큰을 허용했다.

토큰증권의 가장 큰 장점은 쪼개 팔기다. 부동산, 미술품 등 실물자산뿐만 아니라 저작권, 지식재산권 같은 무형자산까지 토큰증권을 통해 유동화가 가능하다. 24시간 거래되는 유통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제도적으로도 투자계약증권으로 분류되면 자본시장법상 규제를 받게 된다. 투자자들이 안심하고 다양한 자산에 투자가 가능하다.

토큰증권의 특성상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이 바로 조각투자 시장이다. 조각투자는 최근 금융투자업계에서 뜨거운 아이템 중 하나다. 관련 시장도 커지고 있다. 소액으로 투자하고 싶은 'MZ세대(밀레니얼+Z세대)'와 새 시장을 만들려는 핀테크 업체들의 수요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현재 다양한 조각투자 플랫폼이 만들어졌다. 대표적으로 미술품과 음원이다. '테사'는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미술 시장에서 검증된 작가의 작품에 소액으로 조각투자할 수 있게 해준다. 이들은 앤디 워홀, 마르크 샤갈, 뱅크시 등 글로벌 미술 시장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은 블루칩 작가의 작품만을 엄선해 선보인다.

'뮤직카우'는 아티스트만의 전유물이었던 음악 저작권료를 수익증권의 형태로 개인들이 소장하고 거래 가능하도록 구현한 세계 최초 음악 IP(지식재산권) 저작권료 수익 공유 플랫폼이다. 지난해 금융당국으로부터 혁신금융 서비스를 지정 받아 무형자산인 음악저작권을 증권화했다.

한우, 시계, 와인 등도 조각투자의 대상이 됐다. '뱅카우'는 투자자와 한우 농가를 연결해주는 한우 공동 투자 플랫폼이다. 최소 투자금 4만원으로 송아지에 투자하면 농가가 대신 사육한 다음 2년 뒤 경매를 통해 얻은 현금 수익을 나눠 가질 수 있다.

'트레져러'는 명품 시계, 파인 와인 등 고가의 수집품을 최소 1000원 단위부터 분할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자체적인 크롤링 기술로 글로벌 시장가격 데이터를 제공해 이용자들의 편리한 투자를 돕고 있다.

 

associate_pic

 

 

'피스'는 희귀 자산부터 명품까지 다양한 현물 자산에 공동 투자한 뒤 소유권을 나눠 갖고 자산 가치가 상승했을 때 처분해 수익을 올리는 투자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유명한 투자 상품은 롤렉스 시계다.

조각투자 분야에서도 부동산은 토큰증권 시장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감정평가를 거쳐 자산에 대해 공정하게 가치평가를 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도 일정 가격이 보장된다. 비교적 안전하다는 평가다.

'카사', '소유', '펀블'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 인가를 받아 각 금융업체와 신탁 체결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탁회사가 부동산을 소유하고 디지털자산유동화증권인 '댑스(DABS·Digital Asset Backed Security)'를 개인 투자자에게 발행한 후 여기서 발생하는 수익을 배분한다.

업계는 토큰증권이 제도권으로 편입되면 조각투자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은 더 커지고 투자종류는 다양해지고 투자자 보호 체계는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뱅카우 관계자는 "조각투자 시장은 기회의 땅이 됐다. 시장은 커질 것이다. 기존의 주식·채권을 넘어 조각투자를 통해 상품의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며 "투자자와 이용자들이 다양한 상품을 접할 수 있는 시작이 됐다"고 말했다.

뮤직카우 관계자는 "토큰증권 도입으로 음원저작권을 비롯해 증권성을 가진 다양한 투자상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토큰증권 시장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테사 관계자는 "토큰증권이 제도권으로 들어오면 조각투자 산업의 저변이 확대되고 투자자 보호 체계가 강화될 것"이라며 "조각투자 상품이 금융상품으로 발돋움 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투자자들 역시 믿고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이 구체화 된다"고 밝혔다.

 

 

출처: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330_0002248218

 

댓글

STO 소식

조각투자 광고 빗장 풀렸다지만…여전히 불안한 STO 모래성
M
김태완
조회수 8
추천 0
2025.01.21
조각투자 광고 빗장 풀렸다지만…여전히 불안한 STO 모래성
[인터뷰] 신범준 토큰증권협의회장 "상반기 STO 법안 통과 기대"
M
김태완
조회수 9
추천 0
2025.01.21
[STO] 펀블, 프랑스 EuroSX와 MOU…유럽 토큰증권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M
김태완
조회수 21
추천 0
2025.01.17
[STO] 펀블, 프랑스 EuroSX와 MOU…유럽 토큰증권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캔버스엔, 파라메타와 K콘텐츠 STO 플랫폼 구축…"토탈 엔터사 도약"
M
김태완
조회수 17
추천 0
2025.01.17
캔버스엔, 파라메타와 K콘텐츠 STO 플랫폼 구축…"토탈 엔터사 도약"
'토큰 경제' 새판짜기 기대감...말 많은 STO 시장, 이번엔 열릴까
M
김태완
조회수 23
추천 0
2025.01.16
'토큰 경제' 새판짜기 기대감...말 많은 STO 시장, 이번엔 열릴까
[마켓인]커스터디 기업 비댁스, RWA·STO로 사업 영역 넓히는 이유는
M
김태완
조회수 18
추천 0
2025.01.16
허세영 루센트블록 대표 "STO 불꽃 살려야…모두에게 소유의 기회를"
M
김태완
조회수 16
추천 0
2025.01.16
LS증권, 한국ST거래와 소상공인∙지역경제 지원 위한 STO 발행 업무협약
M
김태완
조회수 21
추천 0
2025.01.15
LS증권, 한국ST거래와 소상공인∙지역경제 지원 위한 STO 발행 업무협약
토큰증권·조각투자 플랫폼 제도화 본격 추진
M
김태완
조회수 43
추천 0
2025.01.10
토큰증권·조각투자 플랫폼 제도화 본격 추진
한국 금융위원회는 토큰 증권(STO) 입법을 추진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이 큰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M
김태완
조회수 31
추천 0
2025.01.10
올해 대체거래소 열고 공매도 재개…비상장주 플랫폼·토큰증권도 제도화
M
김태완
조회수 36
추천 0
2025.01.09
올해 대체거래소 열고 공매도 재개…비상장주 플랫폼·토큰증권도 제도화
[STO] 펀블, 새해 첫 조각투자 공모 ‘더 코노셔 여의도1호’ 출시
M
김태완
조회수 41
추천 0
2025.01.09
[STO] 펀블, 새해 첫 조각투자 공모 ‘더 코노셔 여의도1호’ 출시
[2025년 코인 돋보기] 증시 수장들 “새해 디지털자산 ETF 승인·STO 허용 검토”
M
김태완
조회수 46
추천 0
2025.01.09
[2025년 코인 돋보기] 증시 수장들 “새해 디지털자산 ETF 승인·STO 허용 검토”
[금융위 업무보고] STO·조각투자 플랫폼 제도화…자산유동화 지원
M
김태완
조회수 43
추천 0
2025.01.09
[금융위 업무보고] STO·조각투자 플랫폼 제도화…자산유동화 지원
가상자산 법인계좌 단계적 허용 검토…토큰증권(STO) 제도화 추진 [2025 금융위 업무계획]
M
김태완
조회수 38
추천 0
2025.01.09
가상자산 법인계좌 단계적 허용 검토…토큰증권(STO) 제도화 추진 [2025 금융위 업무계획]
작성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