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챗GPT가 열어젖힌 AI 시대가 시작됐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이제는 누구나 프로그래머가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코드의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비트코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존 블록체인 시스템은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 공격에 무방비 상태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256비트 암호도 양자 알고리즘 앞에서는 10년 이내에 무력화될 수 있다는 경고가 기술계에서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다수는 이에 대한 준비를 미루고 있다.

 

블록체인 인프라 개발사 팬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으로부터 양자암호내성(PQC) 기술을 이전받아, 이를 통합하는 ‘이중나선형 PQC 블록체인’을 설계 중이라고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양자컴퓨터 기반 해킹을 차단할 수 있다. 팬시는 이를 바탕으로 자산 보관과 양자 해킹 방어 기능을 갖춘 보안 지갑 ‘퀀텀 월렛’을 개발 중이다. 현재 프로토타입 개발을 마치고 내부 테스트 중으로, 올해 하반기 첫 공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팬시는 콘텐츠 플랫폼 셀러비와 협력해 PQC 기술을 콘텐츠 유통과 저작권 보호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셀러비는 K-콘텐츠의 글로벌 확장을 위해 저작권 보안과 정산 시스템의 고도화를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양자컴퓨터 시대를 앞두고 블록체인과 보안 기술의 패러다임이 전환점을 맞고 있으며, 팬시의 대응이 블록체인 보안 기술의 새로운 표준이 될지 주목된다.

 

출처: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86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