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으로

“한국인, 암호화폐 인식 높으나 웹3.0·탈중앙화 이해도는 개선 필요”

M
김태완
2024.12.12
추천 0
조회수 398
댓글 0

[테크월드뉴스=이광재 기자] 디지털 자산 지갑 메타마스크(MetaMask)를 개발한 블록체인 및 웹3.0 소프트웨어 기업 컨센시스(Consensys)가 국제 리서치 데이터 분석 그룹 유고브(YouGov)와 함께 온라인으로 실시한 암호화폐 및 웹3.0에 대한 두 번째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컨센시스는 2023년에 발표한 첫 번째 보고서에 이어 18개국 1만8000명으로 표본을 확대했으며 암호화폐, 웹3.0, 탈중앙화에 대한 글로벌 인식을 조명하는 동시에 국내 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번 조사에는 국내에서는 18~65세 남녀 1000명이 참여했으며 응답자 대부분이 암호화폐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웹3 개념에 익숙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15%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3분의 1 이상은 향후 12개월 이내에 암호화폐에 투자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으며 암호화폐와 가장 잘 설명하는 개념으로는 ‘미래의 화폐’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한편 암호화폐는 투기, 사기, 범죄와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와 연관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시장 변동성은 여전히 한국인들에게 가장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조사 결과 한국인들의 암호화폐에 대한 인식은 응답자의 94%가 암호화폐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고 61%는 암호화폐를 이해한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시장 변동성(69%)은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가장 큰 진입 장벽으로 꼽혔으며 이는 지난해보다 다소 낮아진 수치다.

그 외에도 사기에 대한 두려움(44%), 잠재적인 규제 문제(33%) 등이 주요 장벽으로 언급됐다.

암호화폐를 가장 잘 설명하는 개념으로는 ‘미래의 화폐’(38%)가 꼽혔으며 투기, 사기, 범죄 및 자금세탁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도 여전히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미래의 디지털 소유권’과 암호화폐를 연관 지은 응답자는 32%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 한국인의 대부분이 비트코인 ETF(67%)와 이더리움 ETF(61%)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5명 중 1명 이상은 이러한 개념을 이해한다고 답했다. 암호화폐에 대해 알고 있는 응답자 중 절반은 암호화폐가 환경 친화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를 알고 있는 한국인 응답자 중 과반수(54%)는 암호화폐를 구매해 적이 한 번도 없다고 응답했다. 28%는 현재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으며 18%는 과거 보유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절반 이상(52%)이 암호화폐 투자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지만 이는 작년과 비교해 크게 감소한 수치다.

한편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 의향은 크게 증가해 응답자 중 37%가 향후 12개월 내 암호화폐에 투자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작년과 비교해 크게 상승한 수치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여전히 가장 많이 구매된 암호화폐로 나타났으나 지난 해와 비교해 각각 8% 포인트, 9% 포인트 감소했다.

웹3.0 개념에 친숙하다고 응답한 한국인은 15%에 불과해 16%였던 지난해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3.0을 알고 있는 응답자 가운데 35%는 NFT를 구매한 경험이 있으며 4명 중 1명 이상(28%)이 암호화폐 스테이킹, 블록체인 게임(26%)을 플레이하거나 웹3.0 지갑을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웹3.0을 전혀 모른다고 답한 응답자는 지난해 대비 5% 포인트 증가했다.

탈중앙화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드러났다. 응답자의 31%만이 탈중앙화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26%는 탈중앙화가 암호화폐 기술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한국인의 61%는 중앙집중식 웹2.0 기업들이 지나치게 큰 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우려했으며 국제 송금(32%), 크리에이터 경제(30%), 소셜 미디어(30%)가 탈중앙화를 통해 개선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평가했다.

대부분의 한국인에게 탈중앙화는 아직 생소한 개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중 탈중앙화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응답자는 3명 중 1명인 31%에 그쳤으며 4명 중 1명(26%)만이 암호화 기술과 탈중앙화의 연관성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3명 중 2명(61%)은 중앙집중식 Web2 기업이 너무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 우려를 표했고 3명 중 1명(33%)은 탈중앙화를 통해 국제 뱅킹 및 송금(32%), 크리에이터 경제(30%), 소셜 미디어(30%)가 가장 크게 개선될 분야라고 응답했다.

한국인의 절반 이상은 현재의 금융 시스템이 잘 작동하고 있지만 여전히 개선사항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 중 대다수는 여러 개의 은행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글로벌 설문조사 결과와 궤를 같이했다.

또 한국인 응답자들은 개인정보와 보다 강력한 온라인 신원 관리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진술과 비교해서는 동의한다는 비율은 적었지만 상당수의 한국인들이 현재의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는데에 동의했다.

아울러 한국인들은 인공지능(AI)이 가짜 뉴스나 기타 사기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우려를 표했고 절반 이상(55%)은 블록체인 기술이 이러한 AI의 잠재적인 위험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와 관련해 조셉 루빈(Joseph Lubin)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이자 컨센시스 설립자겸 CEO는 “우리의 데이터가 관리되는 측면에서 개인정보보호, 신뢰도 및 투명성을 강화하는 데 블록체인과 탈중앙화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은 결코 과소평가될 수 없다”며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3%가 동의한 것처럼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강조됐을 뿐 아니라 전세계 주요 국가의 선거 및 AI 기술의 주류화 속에서 심각한 문제로 부상한 허위 정보에 대한 우려도 드러났다”고 밝혔다.

그는 “매년 우리는 암호화폐, 블록체인, 그리고 탈중앙화 웹3.0의 성장과 도입이 확대되는 긍정적인 흐름을 목격하고 있다. 2024년은 다양한 이유로 암호화폐에 기념비적인 한 해로 기록될 것이며 이러한 이유들이 빠르게 결합하면서 웹3.0 생태계가 지향하는 올바른 방향으로 사회를 변화시켜 모든 사람과 사회가 경제, 사회 및 정치적으로 더욱 중요한 권한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최근 치러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규제를 더욱 명확히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전세계가 탈중앙화와 암호화폐의 잠재성을 받아들이고 있는 가운데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를 중심을 한 우리 업계는 교육 및 혁신을 통해 새롭게 유입되는 차세대 사용자들의 역량을 향상시킬 준비가 됐고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과제들을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출처: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9897

댓글

블록체인

상폐 위기 빠진 위믹스…블록체인 게임 업계 '우려' 확산
M
김태완
조회수 47
추천 0
2025.04.11
[기고] 블록체인과 투자 생태계의 신뢰 회복을 위한 제언
M
김태완
조회수 45
추천 0
2025.04.11
구글 클라우드 손잡은 스토리, 블록체인 개발 환경 개선
M
김태완
조회수 45
추천 0
2025.04.11
구글 클라우드 손잡은 스토리, 블록체인 개발 환경 개선
[주요 뉴스] 비피엠지, 팝플러스 출시 및 일본 시장 진출로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M
김태완
조회수 44
추천 0
2025.04.11
[주요 뉴스] 비피엠지, 팝플러스 출시 및 일본 시장 진출로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블록체인도 외부 검증"...XPLA, ISAE 3000 인증 2년 연속 획득
M
김태완
조회수 54
추천 0
2025.04.11
"블록체인도 외부 검증"...XPLA, ISAE 3000 인증 2년 연속 획득
[비즈 칼럼] 블록체인 정책, 손가락 말고 달을 보아야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441
M
김태완
조회수 49
추천 0
2025.04.11
[비즈 칼럼] 블록체인 정책, 손가락 말고 달을 보아야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441
홍은표 변호사, 블록체인법학회 제2대 회장 취임
M
김태완
조회수 41
추천 0
2025.04.11
홍은표 변호사, 블록체인법학회 제2대 회장 취임
비트코인 스테이킹 플랫폼 바빌론, 레이어1 블록체인 '제네시스' 본격 가동
M
김태완
조회수 40
추천 0
2025.04.11
"디지털 부동산 거듭난 '도메인'…블록체인서 주요 '금융상품' 될 것"
M
김태완
조회수 38
추천 0
2025.04.11
MANTRA, 블록체인 프로젝트 촉진을 위한 1억 800만 달러 펀드 발표
M
김태완
조회수 51
추천 0
2025.04.10
MANTRA, 블록체인 프로젝트 촉진을 위한 1억 800만 달러 펀드 발표
[주요 뉴스] 피크 블록체인 생태계, 1분기 성과와 기술 혁신으로 주목받아
M
김태완
조회수 43
추천 0
2025.04.10
[주요 뉴스] 피크 블록체인 생태계, 1분기 성과와 기술 혁신으로 주목받아
재무부, 블록체인 및 결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규제 재설정 검토
M
김태완
조회수 43
추천 0
2025.04.10
재무부, 블록체인 및 결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규제 재설정 검토
퍼블릭 블록체인의 진화…로커스체인, 공개 테스트넷 전격 개방
M
김태완
조회수 45
추천 0
2025.04.10
퍼블릭 블록체인의 진화…로커스체인, 공개 테스트넷 전격 개방
국민연금, 기금 거래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 검토한다
M
김태완
조회수 43
추천 0
2025.04.10
국민연금, 기금 거래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 검토한다
[박혜진의 블록체인 아카이브] 불붙은 미·중 관세전쟁...디지털자산은 안전한가
M
김태완
조회수 42
추천 0
2025.04.10
[박혜진의 블록체인 아카이브] 불붙은 미·중 관세전쟁...디지털자산은 안전한가
작성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