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과 ESG가 결합하면서 환경과 사회 그리고 지배구조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투자자 보호를 중심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강화하며 블록체인 산업의 긍정적인 영향을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블록체인 숲에 ESG 심다’…두나무 등 가상자산 거래소, ESG에 ‘진심’
투자자 보호부터 환경 캠페인까지…ESG 경영 가속
가상자산업계, 신뢰 구축 위해 보안·준법 강화
청년 지원·사회공헌 확대…산업 이미지 개선 나서
금융투자업계와 마찬가지로 가상자산업계에서도 투자자 보호는 중요한 주제다. 가상자산은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지만 해킹 등의 위험으로 인해 투자자의 재산과 개인정보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큰 변동성으로 인한 투자 손실까지 더해지면서 정보의 투명한 공개와 거래소의 책임 있는 운영이 필수적이다. 이는 ESG의 사회적 책임과도 연결되며 거래소들이 투자자 보호를 중심으로 ESG 활동을 확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두나무가 운영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는 2021년 100억원을 투자해 투자자보호센터를 설립했다. 이곳에서는 투자자를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과 보이스피싱 예방 캠페인을 운영하며 피해를 방지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또한 투자 유의 종목의 기준을 명확히 하고 위험성이 높은 자산에 대한 공지를 강화한다. 내부적으로는 자금세탁방지 시스템을 도입하고 준법 교육을 확대하며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고 있다.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청소년 금융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해 디지털 금융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다른 주요 거래소들도 투자자 보호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빗썸은 투자자보호센터를 운영하며 투자 안전수칙과 사기 피해 예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코인원은 보안 강화를 위해 사기 거래를 모니터링하는 전담 조직을 두고 있다. 코빗은 이상거래 감시위원회를 운영해 시세 조종과 내부자 거래 같은 불공정 행위를 방지하고 있다. 고팍스는 해킹과 시스템 장애로 인한 피해를 대비하기 위해 투자자 예치 자산 보험을 도입했다.
이들은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에 참여하며 시장 안정화를 위한 조치에도 협력하고 있다.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위험 자산을 신속히 지정하고 거래 지원 종료 등의 결정을 빠르게 내릴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투자자 보호 외에도 가상자산업계는 ESG 실천을 확대하며 산업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한때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했던 가상자산 거래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되며 블록체인 산업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지적에 대응해 친환경 캠페인도 강화하고 있다.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ESG 경영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22년 ESG 경영위원회를 출범했다.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변재영 선수 같은 비인기 종목의 유망 선수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청년 발전기금 428억원을 투자하며 청년 일자리와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금융 취약계층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나무' 프로젝트를 통해 10만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었으며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해 시드볼트 NFT 프로젝트를 운영해 2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 내부적으로는 임직원이 직접 참여하는 ESG 캠페인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물 절약을 실천하며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두나무 측 관계자는 “2025년에도 두나무는 환경과 사회를 위해 수익을 나누고 두나무 만의 앞선 기술로 정보와 교육에 소외되는 이들이 없도록 더욱 노력할 예정"이라며 “업계 선도 기업으로서 디지털 자산의 표준 정립 및 건강한 투자 생태계 조성에도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주요 뉴스] EY 글로벌 블록체인 리더, 폴 브로디 “이더리움, 자산보다 플랫폼으로 성장해야”](https://www.blockmedia.co.kr/wp-content/uploads/2025/03/ey-paul-brody-v2.webp)




![[SFS출범] AI·블록체인 시대, 금융 미래를 논하다… '싱귤래리티 금융 소사이어티' 출범](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3/24/news-p.v1.20250324.d0fe1423329c4ff2a2b10857684d480b_P1.jpg)








댓글